"운동하는 당신, 이 음료가 딱"…AI 맞춤형 보조제로 '뷰티니스' 공략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학생창업기업 '스트롱라이프' 하현서 대표 "개인 맞춤형 운동보조제 즉석 제조"
  • 2025.09.30 08:30
  • AI 맞춤형 보충제 자판기 '유웰나우'/사진제공=스트롱라이프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image
AI 맞춤형 보충제 자판기 '유웰나우'/사진제공=스트롱라이프
헬스장 개업이 늘면서 회원 유치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월 회원권 가격은 2만~3만원대까지 떨어지며, 헬스 업계는 단순 회원 모집만으로는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차별화를 위해 단백질 음료 자판기 등을 도입하지만 편의점 등 유통채널보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학생창업기업 스트롱라이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보충제 자판기 '유웰나우(uwellnow)'를 개발했다. 개인의 운동 목표, 신체 정보, 생활습관 등을 AI가 분석해 최적 성분과 함량을 조합한 맞춤형 음료를 즉석 제조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하현서 스트롱라이프 대표는 "헬스장 자판기는 편의점보다 비싼 경우가 많아 이용률이 낮았다"며 "유웰나우는 원료·성분·용량을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핵심 기술은 복잡한 유전자 검사나 혈액 검사 없이도 AI 설문만으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키·체중·체질량지수(BMI) 같은 신체 정보와 수면시간, 운동 목적, 선호도 등을 입력하면 맞춤형 음료 레시피가 QR코드로 생성된다. 이 QR코드를 유웰나우 자판기에 태그하면 그 자리에서 제조된 맞춤형 음료가 나온다.

현재 유웰나우가 제공하는 보조제는 필수아미노산(EAA), 분지쇄아미노산(BCAA) 등 7종으로, 조합 가능한 음료 가짓수는 600여개에 달한다. 연내 보조제 종류를 14종으로 확대해 더 다양한 음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유웰나우는 지난 8월 시제품을 개발해 일부 헬스장을 통해 판매를 시작했다. 서비스 출시 3주 만에 사용자 1000명을 돌파했고 피트니스 센터에서 진행한 MVP 테스트에서는 일주일 만에 235잔을 판매하며 초기 시장성을 입증했다. 하 대표는 "무료 프로모션을 진행한 결과 전체 등록 회원의 17%가 유웰나우를 이용했고 이 중 25.9%가 유료 구매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현재 고객사는 헬스장·PT숍 등 30여곳에 이른다. 최근 열린 '2025 세계 명문대학 조정대회'에서는 공식 후원사로 참여하며 브랜드 인지도도 높였다. 하반기에는 여성전용 PT숍, 프랜차이즈 및 프리미엄 헬스장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트롱라이프는 유웰나우의 AI 맞춤형 보충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자체브랜드(PB)도 출시해 수익성을 높일 방침이다. 하 대표는 "콜라겐, 프로바이오틱스 등 이너뷰티 제품까지 맞춤형으로 확장해 '뷰티니스(이너뷰티+피트니스)'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image
스트롱라이프 개요/그래픽=김다나
한편 스트롱라이프는 오는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 열리는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의 UNIST 결선 진출팀으로 참가한다.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은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후원으로 전국 5곳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카이스트·디지스트·유니스트·지스트·포스텍)이 주최하는 대회다. R&D(연구개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과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 성장, 지역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올해가 네 번째다.

이번 대회는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의 교원·학생창업기업 각 5곳씩, 총 10개팀이 결선에 올랐다. 삼성전자, SK텔레콤, 현대차 등 대기업 오픈이노베이션 담당임원과 L&S벤처캐피탈, 에코프로파트너스, 캡스톤파트너스 등 VC, CVC(기업형 벤처캐피탈), AC(액셀러레이터) 대표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대상 수상 기업은 상금 300만원과 함께 △후속투자유치 지원 △사업파트너 연결 △기술·경영·해외진출 분야 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유니콘팩토리는 이번 대회를 통해 R&D의 사업화와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지역의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의 혁신성장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