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재생·AI 신소재 개발…K-딥테크, 미래 바꿀 '꿈의 기술' 쐈다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전국 5대 과기원 교원·학생창업기업 경연(종합)- 2025.10.19 11:00
![]() |
올해 4회째인 왕중왕전은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돕고 R&D(연구개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지역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포스텍(옛 포항공대)이 공동 주최한다.
이날 결선에는 각 대학의 기술사업화팀·산학협력팀·창업진흥센터 내부심사 및 유니콘팩토리가 별도 구성한 심사위원들이 IR덱 등을 토대로 엄선해 선정한 교원·학생창업 각 1곳씩 총 10개 기업이 격돌했다. 셀리아즈와 나노포지에이아이는 KAIST 교원·학생창업 대표로 참가, 기술력과 시장성 등 모든 부문에서 심사위원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며 대상을 수상했다.
교원창업 부문 우수상은 혈액암치료 신기술 기업 티케이메디컬솔루션(UNIST)과 세포치료제 이식체를 개발한 셀닛(포스텍)이, 학생창업 부문 우수상은 AI 임상예측 솔루션 실리코팜(DGIST), 무인 자율주행 비행체 기업 이카루스(GIST)가 각각 수상했다.
![]() |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사진=김창현 기자 chmt@ |
대상팀에는 각각 과기정통부 부총리상과 함께 상금 300만원이 주어졌다. 우수상·장려상 각각 2팀에겐 상금 100만원·50만원을 지급했다. 특히 대상팀은 △후속 투자유치 연계 △팁스 추천 △사업파트너 연결 △기술·경영·해외진출 분야 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의료·바이오 두각…부총리상 기업에 투자유치 연계
![]() |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사진=김창현 기자 chmt@ |
우수상을 받은 실리코팜은 뇌 조직처럼 시료 채취가 불가능한 임상 영역을 가상 실험으로 대체하는 솔루션 '녹지(KnockG)'를 내세웠다. 셀닛은 세포치료제를 체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돕는 세포이식체 '스레드릭스'를 개발한다. 티케이메디컬솔루션은 혈액암 환자 맞춤형 약물 진단·선정 기술을 개발한다.
이밖에 KAIST 학생기업 나노포지에이아이는 AI를 활용, 기존 10여년 걸릴 수 있는 산업용 신소재·물질 개발 기간을 최단 1개월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카루스는 장기 체공 비행선을 통해 해양 감시 및 우주통신 시장에 진출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부총리상을 받은 김동현 나노포지에이아이 대표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알고, 연말까지 기술개발을 완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송은강 캡스톤파트너스 대표는 심사평을 통해 "K 딥테크라는 이름에 맞게 기술력으로 중무장한 기업들이었다"며 "발표 수준도 높고 우리의 미래가 밝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앞서 각 대학은 내부심사 등을 통해 10개팀을 엄선한 다음 결선에 올렸다. 홍순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과기원들은 미래 전략기술 확보와 딥테크 기술사업화 및 창업생태계 고도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왕중왕전을 통해 각 과기원이 개발한 우수 기술들이 사업화 결실을 맺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