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 재단소개
    • 한국기업가정신재단
    • 대표자인사말
    • 목표 및 비전
    • 사업안내
    • 연혁
    • 신뢰와 투명성
    • 관련사이트
  • 스타트업
    • 전체
    • 스타트UP스토리
    • 벤처인사이트
  • 창업기부
    • 창업기부를 모집합니다
    • 창업기부 어떻게 하나
    • 창업기부 Q&A
    • 창업기부 내역
  • 청년기업가대회
    • 대회소개/일정
    • 대회 참가신청
    • 심사위원
    • 기관투자설명회
    • 멘토링
    • 안내/공지
    • 수상팀
    • 대회자료
    • 청년기업가대회란?
  • 패스파인더 벤처포럼
    • 3회 벤처포럼
    • 2회 벤처포럼
    • 1회 벤처포럼
  1. 스타트업
  2. 전체

전체

  • 전체
  • 스타트UP스토리
  • 벤처인사이트

달리기 기록 높이는 신기술...유산소 운동 위한 '페이스메이커' 뜬다

헬스장에 다니는 사람들은 '인바디'를 통해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운동하고 근육을 키울 수 있다. 측정기에 맨발로 올라가 손잡이만 잡으면 되는 간단한 방식으로 근육량과 체지방을 잰다. 그런데 조깅이나 마라톤 같은 유산소 운동의 경우 인바디처럼 과학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술이 없다. 운동자는 그저 열심히 달리기만 할 뿐이다. 함께 뛰는 보조자 '페이스 메이커'를 두는 것이 그나마 가장 나은 방식이다. 헬스케어 스타트업 '뉴마핏'은 이 문제를 기술로 혁신한다는 목표로 지난해 7월 설립됐다. 현재 △호흡 △심박 △혈액 △자세 등 생체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유산소 운동 솔루션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페이서'를 개발 중이다. 회사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호흡과 숨을 의미하는 프뉴마(Pneuma)에서 따왔다. 프뉴마와 운동(피트니스)을 결합한 단어다. 뉴마핏의 개발자 팀은 센서 시스템 설계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다년간의 연구 경험을 갖춘 석·박사 인력을 중심으로 구성

2022.12.20 07:00

장애 부르는 겨울철 불청객 뇌졸중...후유증 막으려 창업한 K닥터

겨울철 대표 질환 중 하나가 뇌졸중이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서(뇌출혈) 뇌가 손상되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뇌혈관 질환은 2020년 우리나라 사망원인 4위로 사망률과 장애 발생률이 높은 질환이다. 매년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혈전용해제나 혈관개통술 치료 후에는 현재 인증된 치료제가 없다보니 팔다리 마비나 언어장애 등의 후유증을 겪기 십상이다. 2019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스핀오프(Spin-off, 분사)한 에스엔이바이오(S&E bio)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신약 개발에 나선 바이오벤처다. 방오영 에스엔이바이오 대표(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최근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와 인터뷰에서 "줄기세포에서 유래하는 세포외소포(엑소좀)를 이용해서 마이크로RNA라는 유전자를 공급해 손상된 뇌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20년간 급성

2022.12.19 07:00

'못받은 보험금 1540억' 찾아낸 이곳...1년새 37만명 몰렸다

"받을 수 있는데도 몰라서 놓치는 보험금이 적지 않습니다.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1월 중순까지 그린리본이 '라이프캐치'를 통해 찾아낸 숨은 보험금만 1540억원에 달합니다." 김규리 그린리본 대표(사진·34)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부모님이 들어준 보험상품의 보험비를 직장인이 된 후엔 직접 납부하면서도 보장 내용은 몰라 놓치는 보험금이 상당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복잡한 증빙과정으로 인해 보험금 청구를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했다. 실제 지난해 4월 녹색소비자연맹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병원방문, 증빙서류 준비 등의 이유로 실손보험 가입자 1000명 중 절반에 육박하는 472명이 보험금 청구를 포기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 1차 병원비도 쉽게 청구…라이프캐치 유료전환율 9%━2020년 3월 설립된 그린리본은 보험금 청구 대행 플랫폼 '라이프캐치'를 운영하는 인슈어테크 스타트업이다. 아울러 보험사의 지급심사에 대한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한다. 보험사와 보험가입자가

2022.12.13 12:56

불법 낙인 대마가 수출효자로 자란다?…전세계 신약개발 '폭증'

현재 지구에서 가장 비싼 작물이 뭘까. 식물·꽃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대마'를 꼽는다. 해외는 대마 성분을 넣은 의약품 중심으로 시장을 확장 중이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의료용 대마를 허용하는 국가가 지난해 29개국에서 올해 49개국으로 확대됐다. 소아뇌전증, 파킨슨병 등에 효능 있다는 게 알려지면서다. 2019년 태국이 대마를 합법화한 뒤 일본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의료용 대마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대마는 엄격히 마약류로 분류돼 연구·학술기관 등의 학술연구를 제외하고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 그러나 경북 안동 '산업용 헴프(Hemp·의료용 대마) 규제자유특구'에서는 허용된 규모 내에서 재배 및 활용이 가능하다. 바이오·헬스케어 스타트업 네오켄바이오는 이곳에 스마트팜과 대마 성분 추출·가공 공정라인을 구축, 대마씨에서 항산화 활성 등 주요 기능성 성분이 많은 카나비노이드 물질을 추출해 의약품 원료로 공급하고 있다.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술출자 기업

2022.12.11 10:46

부업으로 6개월 1000만원 어디?...인생 사고 파는 '오디오 잡화점'

'따뜻한 목소리는 우리가 직접 스킨십 하지 않아도 실제 스킨십만큼 옥시토신을 생성한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가 낸 연구논문의 내용이다. 옥시토신은 '사랑 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사람들간 애착과 관련 있다. 목소리는 지문과 같다. 개개인 별로 다르다. 인생을 대하는 사람들의 방식과 철학 또한 다르다. 에세이가 매력적인 이유다. 이를 목소리의 울림으로 진정성 있게 전달한다면 어떨까? '인생 저작권'을 사고 판다는 오디오 콘텐츠 잡화점 '나디오'의 시작점이다. 나디오 앱(애플리케이션)은 누구든 본인이 쓴 소설·수필을 녹음해 올리면 적절한 배경음악 등을 더해 '오디오북(목소리로 읽어주는 책)'을 제작할 수 있다. 삶의 경험과 지혜, 일상, 여행, 회고 등 다양한 테마의 에피소드가 등록됐다. 기존 윌라와 같은 오디오북 시장이 '북 퍼스트'(Book First, 책→음성 콘텐츠)라면, 나디오는 '오디오 퍼스트'(Audio First, 음성 콘텐츠→책)라는 역순으로 접근했다는 점이 다르다. 클

2022.12.08 08:53

손상 장기 되살리는 K-오가노이드…'바이오 미래' 이끈다

"오가노이드는 재생치료제와 신약검증 플랫폼 등 바이오산업 성장에 중요한 기반기술이다. 미래 먹거리인 오가노이드를 토대로 성장해 IPO(기업공개)까지 성공하겠다." 유종만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대표(42·사진)는 미래 바이오산업 시장에서 오가노이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유 대표는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신약검증 플랫폼에서는 상용화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재생치료제 부문에서는 국내 첫 임상시험을 허가받았다"고 했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로 각 장기의 세포성분, 구조기능을 재현한 일종의 '미니장기'다. 오가노이드는 △ESC(배아줄기세포)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MSC(성체줄기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를 활용해 만들 수 있다.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교수인 유 대표는 2018년 1월 교원창업으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를 설립했다. 당시 줄기세포치료제 연구자였던 유 대표는 오가노이드에서 성장가능성을 보고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한 재생치료제 개발에 집중했다. 유 대표는 "현

2022.12.07 17:37

마술같은 생분해 하이드로젤, 치료제 패러다임 바꾼다

화상환자 치료시 매일 드레싱은 불문율과 같다. 폼드레싱 제제로 소독하고 항생제 연고를 다시 도포하는 과정을 오랜기간 되풀이해야 한다. 드레싱할 때 환자가 너무 아파하면 마약성 진통제로 쓰이는 모르핀 주사를 놓고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단 출신으로 올초 바이오 스타트업 넥스젤바이오텍을 창업한 송수창 대표(61·사진)가 개발한 '온도감응성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젤'은 이같은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새로운 화상치료제 개발이 가능케 해 주목받는다. 송 대표에 따르면 화상치료에 맞춰 응용개발한 하이드로젤을 상처부위에 스프레이처럼 뿌리면 드레싱이 끝난다. 고분자가 포함된 수용액이 체온과 맞닿으면 젤 형태로 바뀌는 데 이때 피부를 코팅해 습윤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젤 내부에 우리 몸 세포들이 들어와 조직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피부회복을 촉진한다. 온도감응성 하이드로젤은 실온에서는 물과 같은 액상이었다가 체온에선 빠르게 젤리 형태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2022.12.06 15:45

약효 좋은데 매일 주사 고통…'월 1회' 치료제에 제약사도 투자

"당뇨 환자의 경우 매일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를 놓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고통스럽고 불편함이 많습니다. 투여 횟수를 줄여주는 약물 전달 기술로 환자들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안태군 아울바이오 대표는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한 달에 한 번만 투여하더라도 매일 투여하는 치료제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의약품을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18년 설립된 아울바이오는 혁신약물전달(DDS) 기술을 기반으로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개선하는 △당뇨 치료제 △비만 치료제 △성조숙증 치료제 △치매 치료제 △B형 간염 바이러스제 △금연 보조제 △관절염 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기술력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부품개발(이종기술융합형)'과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중소벤처기업부의 'BIG3 중소벤처 혁신성장 지원기업' 등의 국책사업에 선정됐다. ━20여년 제약 분야에 몸담은 바이오 전문가━ 안태군 대표는 CJ제일제당 제약연구소에서 서방제, 신규염, 복합

2022.12.04 11:37

초속 12m 강풍도 거뜬…1400억 투입한 'K-틸트로터 드론' 뜬다

올해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한 공항. '휭~' 활주로에 초속 12m 이상의 강품이 분다. 이 정도면 우산이 완전히 망가질 정도의 위력이다. 남아공 파트너사 관계자가 "(시범비행을)접을까요"라고 물었다. 그러자 물끄러미 하늘을 바라 보던 권기정(53) 나르마 대표가 손가락을 들어 올려 뭔가를 가리켰다. "저기 날아가잖아." 나르마의 수직이착륙 틸트로터(tilt-rotor) 드론의 해외 첫 판매가 이뤄진 순간이었다. 틸트로터 드론은 제자리 비행이 가능한 '수직 이착륙'과 비행기 형태의 날개를 이용해 '고속 비행'이 가능한 드론(무인기)를 말한다. 일반 멀티콥터 드론보다 약 3~4배 이상 장거리를 빠르게 비행할 수 있는 높은 효율성을 지녔다. 전세계 드론 시장을 장악한 중국산은 바람이 부는 날은 띄울 수 없다. 하지만 보통 초속 5m 내외의 바람은 사계절 내내 불어 1년간 반도 못 날리는 경우가 숱하다. 나르마의 대표 틸트로터 배송 드론인 AF시리즈(제품명: AF100, AF200)은

2022.11.29 12:00
  • 31
  • 32
  • 33
  • 34
  • 35 (current)
  • 개인정보처리방침
logo

(03134)서울 종로구 율곡로 112, 4층
전화 : (02)767-6857 팩스 : (02)741-1007 이메일 : jacki@mt.co.kr
Copyright©KEF.All Contents Reserved